카테고리 없음

N대로(2)

사막에서 피는 샤론 2021. 1. 22. 13:11


의미와 용법
-따로따로 구별됨을 나타내는 조사.
-(명사에 붙어) 서로 따로따로 구별됨을 나타낸다.

예문
담화 예문
가: 재활용 쓰레기를 한 번에 버리지 말고 분리해서 버리세요.
나: 아, 새로 이사를 와서 잘 몰랐습니다. 어떻게 분리하면 되나요?
가: 종이는 종이대로 플라스틱은 플라스틱대로 캔은 캔대로 분리해서 버리세요.
나: 네, 조심하겠습니다.

가: 책 정리 중이에요?
나: 네, 안 보는 책 좀 버리려고요.
가: 도와 드릴까요?
나: 도와주시면 저야 감사하지요.
가: 어떻게 정리하면 돼요?
나: 한국어 책은 한국어 책대로 영어 책은 영어 책대로 정리하면 돼요.

문장 예문
· 큰 아이는 큰 아이대로 작은 아이는 작은 아이대로 옷을 사달라고 졸랐다.
· 신발을 그렇게 색깔별로 정리하지 말고 운동화는 운동화대로 구두는 구두대로 정리하는 게 좋을 것 같아요.
· 딸은 딸대로 예쁘고 아들은 아들대로 예쁘니까 딸을 낳든 아들을 낳든 상관없어요.
· 한라산은 여름은 여름대로 겨울은 겨울대로 아름다우니까 아무 때나 가도 돼요.
· 학생 식당에서는 밥을 먹고 나서 숟가락은 숟가락대로 젓가락은 젓가락대로 따로 반납 통에 넣어야 해요.
· 너도 힘들었겠지만 나는 나대로 고민하느라고 잠도 못 잤어.
· 큰 것은 큰 것대로 따로 모아 놓으세요.
· 저희 집은 식구가 많아서 어른은 어른대로 아이는 아이대로 나누어서 밥을 먹어요.
· 겨울옷은 겨울옷대로 여름옷은 여름옷대로 따로 정리하세요.
· 시간이 안 맞으니까 만나서 가지 말고 너는 너대로 나는 나대로 가서 거기에서 만나자.

‘대로2)’는 따로따로 구별됨을 나타내는 보조사이다. ‘큰 아이는 큰 아이대로 작은 아이는 작은 아이대로 옷을 사달라고 졸랐다’고 하는 것은 큰 아이 따로, 작은 아이 따로 각각 졸랐다는 사실을 이야기한다.


도입

(1)
교사: (잘 정리된 책장을 몇 가지 보여 주면서) 사람마다 책을 정리하는 방식이 다른 것 같아요. 여러분은 책을 어떻게 정리해요?
학생: 한국어 책, 영어 책 이렇게요.
교사: 아, 한국어 책은 한국어 책대로 영어 책은 영어 책대로 정리하는군요. (색깔별로 서재를 정리한 사진을 보여 주며) 이 사람은 책을 좀 다르게 정리했어요. 어떻게 정리한 것 같아요?
학생: 색깔에 따라 정리했어요.
교사: 맞아요. 파란색 책은 파란색 책대로 노란색 책은 노란색 책대로 책을 색깔별로 정리했어요.

(2)
교사: (잘 정리된 옷장을 보여 주면서) 선생님이 주말에 옷 정리를 했어요. 여러분은 옷을 어떻게 정리해요?
학생: 겨울옷, 여름옷 이렇게 정리해요.
교사: 네, 선생님도 겨울옷은 겨울옷대로, 여름옷은 여름옷대로 정리했어요. 그리고 또 티셔츠는 티셔츠대로 바지는 바지대로 정리했어요.

따로따로 구별된다는 뜻의 ‘대로2)’를 도입할 때 그림이나 상황 설명을 통해서 자연스럽게 의미를 인지시킬 수 있다. 겨울옷과 여름옷, 하의와 상의, 과일과 야채 등 범주별로 분리되는 것들을 보여 주면서 ‘따로따로’의 뜻을 인지시킬 수 있다.


형태 정보

① 명사 끝음절의 받침 유무에 관계없이 ‘대로’를 쓴다.

예)약속 + 대로 → 약속대로
연필 + 대로 → 연필대로
법 + 대로 → 법대로
바지 + 대로 → 바지대로
설명서 + 대로 → 설명서대로
너 + 대로 → 너대로


문장 구성 정보
① ‘대로’가 따로 구별된다는 의미로 사용될 때는 ‘~은 ~대로, ~은 ~대로’의 구성으로 쓰인다.

예)
 너대로 나 나대로 따로 상관하지 말자.
운동화 운동화대로 구두 구두대로 정리하세요.
큰 것 큰 것대로 따로 모아 주세요.

‘대로’가 따로따로 구별된다는 의미로 사용될 때는 대부분 대조의 의미를 나타내는 보조사 ‘은’과 함께 쓰여 ‘A는 A대로 B는 B대로’의 구성으로 쓰이는데, ‘B는 B대로’ 부분을 전제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는 경우라면 뒷부분을 생략하고 ‘A는 A대로’의 형태로도 쓸 수 있다. 즉, 위의 예문에서 ‘큰 것은 큰 것대로 모아 달라’고 하는 것은 ‘큰 것’과 ‘다른 것’, 또는 ‘큰 것’과 ‘작은 것’을 따로따로 구별하라는 것을 전제하고 있으므로 자연스러운 문장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