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만 같아도
의미와 용법
-어떤 시기나 상황을 비교하여 가정함을 나타내는 표현.
-(명사에 붙어) 어떤 시기나 상황을 비교하여 가정하여 뒤의 내용을 서술할 때 사용한다. ‘~이라면’의 뜻이다.
예문
가: 앤디 씨는 언제 처음으로 휴대폰을 샀어요? 나: 저는 대학생 때 처음 휴대폰을 샀어요. 가: 정말요? 요즘은 초등학생들도 다 휴대폰을 갖고 다니는 것 같아요. 나: 맞아요. 10년 전만 같아도 초등학생들이 휴대폰을 갖고 다니는 건 상상도 못했는데 말이에요. 가: 왜 이렇게 우울해 보여요? 나: 성적표가 나왔는데 성적이 생각보다 좋지 않아요. 가: 왜요? F가 있어요? 나: 아니요, 성적 장학금을 받아야 하는데 0.1점이 모자라요. 가: 제 성적이 왕밍 씨만 같아도 걱정이 없을 텐데요. |
· 올해 날씨가 작년만 같아도 눈이 많이 오지 않을 거예요. · 동생이 형만 같아도 공부를 잘할 거예요. · 평일만 같아도 길이 이렇게 막히지 않을 거예요. · 내 방 크기가 여기만 같아도 훨씬 넓고 좋을 것 같아요. · 어제만 같아도 이렇게 힘들지 않았던 것 같아요. · 학기 초만 같아도 도서관에서 공부하는 학생들이 많아요. · 철수 키가 너만 같아도 축구 선수를 한다고 했을 거야. · 오늘 회의만 같아도 직원들의 참여가 매우 활발했습니다. · 우리 회사만 같아도 1년 안에 그만두는 직원들이 많습니다. · 10년 전까지만 같아도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들이 많지 않았어요. |
‘만 같아도’는 어떤 시기나 상황을 비교하여 가정하여 뒤의 상태나 상황을 기술할 때 사용한다. ‘동생이 형만 같아도 공부를 잘 할 거예요’는 ‘동생이 형과 같다’는 가정이 성립한다면, ‘공부를 잘하는 행위’가 이루어질 수 있음을 나타낸다. ‘10년 전까지만 같아도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들이 많지 않았어요’는 ‘10년 전까지’의 시기를 지금과 비교하여 가정하면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이 많지 않은’ 상태였으나, 그때와 비교하면 지금은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들이 많음’을 뜻한다. 상황을 가정하는 ‘~이라면’의 뜻으로 해석될 수 있다.
도입
(1) 교사: 여러분, 오늘 날씨가 어때요? 학생: 너무 추워요. 바람이 많이 불어요. 교사: 맞아요. 오늘은 바람이 많이 불고 날씨가 추워요. 어제 날씨는 어땠어요? 학생: 어제는 날씨가 맑고 따뜻했어요. 교사: 네. 어제는 날씨가 맑고 따뜻했어요. 오늘은 추워요. 어제만 같아도 맑고 따뜻했지만, 오늘은 바람이 많이 불고 추워요. 날씨가 어제만 같아도 산책하기 좋았는데, 오늘은 추워서 밖에 나가고 싶지 않아요. 오늘 날씨가 어제와 같아요. 그러면 산책하기 좋지요? 날씨가 어제만 같아도 산책하기 좋지요. (2) 교사: 여러분, 강원도에 가 봤어요? 학생: 네, 가 봤어요. 교사: 서울과 비교해서 강원도 공기가 어때요? 학생: 서울보다 공기가 좋아요. 교사: 네, 강원도는 서울보다 복잡해요? 학생: 아니요, 복잡하지 않아요. 교사: 맞아요. 서울이 강원도만 같아도 공기도 좋고 복잡하지 않아서 살기 좋을 것 같아요. ‘만 같아도’는 무엇과 비교해서 추측할 때 사용해요. 서울을 강원도와 비교해서 추측하고 있어요. |
‘만 같아도’를 도입할 때는 같은 범위 안에서 비교할 수 있는 상태나 상황을 두 개 이상 제시해 주는 것이 좋다. (1)에서와 같이 교사는 학생에게 오늘 날씨를 물어본 후에, 자연스럽게 어제 날씨도 물어본다. 어제 날씨와 오늘 날씨 두 가지를 제시하고, 이를 ‘만 같아도’를 사용하여 ‘어제만 같아도 맑고 따뜻했지만, 오늘은 바람이 많이 불고 추워요’와 같이 서로 비교할 수 있다.
(2)에서도 ‘서울과 강원도’ 두 개의 도시를 제시하여 각각의 특징을 학생들에게 물어본다. ‘강원도만 같아도 서울보다 공기가 더 좋고 복잡하지 않아요’와 같이 두 개를 비교하여, 강원도가 공기가 더 좋고 복잡하지 않은 반면에 서울은 그렇지 않음‘을 ’만 같아도‘를 사용하여 말할 수 있다.
형태 정보
① 명사 끝음절의 받침 유무에 관계없이 ‘만 같아도’를 쓴다.
예) | 지금 + 만 같아도 → 지금만 같아도 | 오늘 + 만 같아도 → 오늘만 같아도 |
학생 + 만 같아도 → 학생만 같아도 | 친구 + 만 같아도 → 친구만 같아도 | |
어제 + 만 같아도 → 어제만 같아도 | 나 + 만 같아도 → 나만 같아도 |
① | 받침 o | + 만 같아도 | 지금만 같아도, 오늘만 같아도, 학생만 같아도 |
받침 x | + 만 같아도 | 친구만 같아도, 어제만 같아도, 나만 같아도 |
문장 구성 정보
① 앞과 뒤의 상황이 반대인 상황에서도 ‘만 같아도’를 사용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만 같아도’의 앞에 시간을 나타내는 말을 자주 사용한다.
예)
지난주만 같아도 춥지 않았는데, 오늘은 날씨가 많이 추워졌어요.
작년만 같아도 이 옷이 맞았었는데, 올해는 살이 쪘는지 작아요.
아침만 같아도 청계천에 사람이 없었는데, 지금은 사람이 너무 많아요.
어렸을 때만 같아도 동생이 키가 작았었는데, 지금은 저보다 훨씬 커요.
② 비교의 의미를 확실하게 나타내기 위해 ‘까지’, ‘으로’, ‘에서’와 같은 조사가 결합하여, ‘까지만 같아도’, ‘으로만 같아도’, ‘에서만 같아도’로 쓰인다.
예)
이틀 전까지만 같아도 흐엉 씨가 한국에 있었어요.
이런 방법으로만 같아도 금방 한국어 실력이 좋아질 거예요.
어제 공항에서만 같아도 사람이 정말 많았어요.
확장
① 큰 의미 차이 없이 ‘만 해도’, ‘만 하더라도’, ‘의 경우만 봐도’로 바꿔 쓸 수 있다.
몇 년 전만 같아도 자전거로 출퇴근하는 사람들이 별로 없었어요.
= 몇 년 전만 해도 자전거로 출퇴근하는 사람들이 별로 없었어요.
= 몇 년 전만 하더라도 자전거로 출퇴근하는 사람들이 별로 없었어요.
= 몇 년 전의 경우만 봐도 자전거로 출퇴근하는 사람들이 별로 없었어요.
우리 회사만 같아도 아침에 운동하는 사람들이 많이 늘었어요.
= 우리 회사만 해도 아침에 운동하는 사람들이 많이 늘었어요.
= 우리 회사만 하더라도 아침에 운동하는 사람들이 많이 늘었어요.
= 우리 회사의 경우만 봐도 아침에 운동하는 사람들이 많이 늘었어요.
*출처 : 국립국어원 교수학습센터 한국어교수학습샘터 (korean.go.kr)
한국어교수학습샘터
kcenter.korean.g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