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 만
의미와 용법
- -오직 그것만 한정하며 다른 모든 것을 배제함을 나타내는 조사.
- -(명사 뒤에 붙어) 다른 모든 것을 배제하며 오직 그것만 선택하여 한정함을 나타낼 때 사용한다.
예문
가: 왕밍 씨, 교실에 미국 사람이 있어요? 나: 네, 한 명 있어요. 앤디 씨만 미국 사람이에요. 가: 줄리아 씨, 한국어와 영어를 모두 배우세요? 나: 아니요. 저는 한국어만 배워요. 가: 철수 씨가 뭐 해요? 나: 아침부터 게임만 하고 있어요. 가: 여러분, 모두 책을 가지고 왔어요? 나: 아니요. 현우 씨만 책을 가지고 왔어요. 가: 앤디 씨, 수업 끝나고 같이 영화를 볼까요? 나: 미안해요. 오늘은 집에 꼭 일찍 가야만 해요. |
· 제 가방에는 필통만 있어요. · 내일 수지 씨만 도서관으로 오세요. · 언니는 날씨가 추워도 치마만 입는다. · 교실에서는 한국어만 사용해야 합니다. · 흐엉 씨는 밤만 되면 남자친구에게 전화해요. · 동생만 혼자 집에 있으면 안 돼요. · 왕밍 씨는 한국에서 아직 부산만 못 갔어요. · 어제 줄리아 씨는 수업은 안 듣고 잠만 잤어요. · 페이페이 씨는 한국 드라마에만 관심이 있어요. · 선생님께서는 항상 빨간색 펜으로만 쓰십니다. |
‘만1’은 다른 것을 모두 배제하고 오직 유일한 것을 한정함을 나타낼 때 사용하는 보조사이다. 유일함을 뜻하기 때문에 그 대상이 강조된다.
도입
(1) 교사: (책상 위에 책, 볼펜 등을 놓은 후) 책상에 무엇이 있어요? 학생1: 책이 있어요. 학생2: 펜이 있어요. 교사: (책상 위에 있는 물건을 모두 치우고 책만 둔다.) 책상에 무엇이 있어요? 학생: 책이 있어요. 교사: 다른 것이 있어요? 학생: 아니요. 교사: 책상 위에 책이 있어요. 책만 있어요. (2) 교사: 수업 시간에 무엇을 배워요? 학생: 한국어를 배워요. 교사: 영어도 배워요? 학생: 아니요. 교사: 수업 시간에 한국어를 배워요. 영어는 안 배워요. 한국어만 배워요. |
‘만1’을 도입할 때 (1)과 같이 처음에는 모든 물건이 있는 상황을 보여 준 후에 교사가 한 가지만을 제시한다. 이는 오직 그것만 있다는 것을 보여 주는 방법으로 학생들에게 인지시킬 수 있다. 또는 (2)와 같이 두 개를 제시하여 그중에 하나만을 선택하여 제한함을 보여 준다.
형태 정보
① 명사의 끝음절 받침 유무에 상관없이 ‘만’을 쓴다.
예) | 동생 + 만 → 동생만 | 책 + 만 → 책만 |
선생님 + 만 → 선생님만 | 부산 + 만 → 부산만 | |
가수 + 만 → 가수만 | 한국어 + 만 → 한국어만 | |
나 + 만 → 나만 | 우유 + 만 → 우유만 |
① | 받침 o | + 만 | 동생만, 책만, 선생님만, 부산만 |
받침 x | + 만 | 가수만, 한국어만, 나만, 우유만 |
제약 정보
-
① ‘만’은 주격조사 ‘이’, 목적격조사 ‘을’과 결합해서 사용되기도 하고 ’이, 을‘ 없이 사용되기도 한다. 다만 결합 순서는 ′만이, 만을′로만 쓰고, ′이만, 이을′로는 쓰지 않는다.
예)너만이 학교에 안 왔어. (o) 너만 학교에 안 왔어. (o)
너만을 사랑해. (o) 너만 사랑해. (o)
확장
-
① ‘께서, 에, 에게, 와/과, 로’ 등과도 같이 쓸 수 있다.
예)할머니께서만 저에게 선물을 주셨어요. (o)
서울에만 눈이 많이 왔어요. (o)
마이클에게만 전화했어요? (o)
당신과만 이야기하고 싶어요. (o)
마이클 씨는 한국어로만 일기를 쓸 수 있다. (o)
= 마이클 씨는 한국어만으로 일기를 쓸 수 있다. (o)
② 수나 양을 최소의 상태로 한정함을 나타낼 때 사용한다.
예)저에게 천 원만 빌려 주세요.
시험 시간이 10분만 남았어요.
식당에 손님이 한 명만 있어요.
사과 딱 한 개만 더 주세요.
수량을 나타내는 표현에 붙어 사용하며, ‘사과 딱 한 개만 더 주세요.’와 같이 수량 표현 앞에 ‘딱’을 붙여 그 의미를 강조한다.
③ 앞에 나타나는 사실이나 동작을 강조함을 나타낸다.
예)아기가 밥을 줘도 울기만 해요.
밥을 조금만 먹는다고 살이 빠지는 게 아니다.
동생 말대로만 했어도 기차를 놓치지 않았을 거예요.
1등을 했다고 좋아만 할 때가 아니에요.
강조의 의미를 나타낼 때는 ‘만’을 명사뿐 아니라 부사, 어미 뒤에 붙여 쓸 수 있다.
예)밥을 많이만 먹는다고 살이 찌지는 않아.
지금 울고만 있을 때가 아니야.
유사 문법
-
① ‘ "만"’,‘ "밖에"’
N 만 N 밖에 · 어떤 것을 한정하거나 제한된 선택임을 나타낸다. · 뒤에 긍정과 부정을 나타내는 말을 모두 쓴다.
예) 흐엉 씨는 고기만 먹어요. (o)
흐엉 씨는 고기만 안 먹어요. (o)· 뒤에 반드시 부정을 나타내는 말을 쓴다.
예) 흐엉 씨는 고기밖에 안 먹어요. (o)
흐엉 씨는 고기밖에 먹어요. (x)‘밖에’는 부정을 나타내는 말과 반드시 같이 쓰이기 때문에 ‘만’보다 강조의 의미가 더 크게 느껴진다.
② ‘ "만"’,‘"뿐"’,‘"밖에"’
N 만 N 뿐 N 밖에 ·앞에 오는 말에 한정됨을 나타낸다. ·뒤에 긍정과 부정을 나타내는 말을 모두 쓸 수 있다.
예) 흐엉 씨가 고기만 잘 먹어요. (o)
흐엉 씨가 고기만 안 먹어요. (o)·뒤에 ‘이다’나 ‘이 아니다’만 온다.
예) 흐엉 씨가 잘 먹는 것은 고기뿐이다. (o)·뒤에 반드시 부정을 나타내는 말을 쓴다.
예) 흐엉 씨가 고기밖에 안 먹어요. (o)
흐엉 씨가 고기밖에 잘 먹어요. (x)만‘은 앞에 있는 것이 유일하다는 것을 강조하지만 뒤에 긍정, 부정이 모두 올 수 있으며 ’밖에‘를 사용했을 때와 어감의 차이가 있다.
예)
냉장고에 물만 있어요.
냉장고에 물밖에 없어요.
냉장고에 ‘물밖에 없다’고 하면 냉장고에 있어야 할 다른 것이 하나도 없다는 것이 강조되고, ‘물만 있다’고 하면 물의 존재가 강조되어 화자의 불만 등은 드러나지 않는다.
‘뿐‘이 제한의 의미로 쓰일 때는 항상 ’뿐이다‘의 형태로 쓰인다.
’밖에‘는 항상 ’없다, 모르다, 안 V, 못 V‘ 등과 같이 부정을 나타내는 말과 함께 쓰여, 앞에 오는 명사만 그러함을 강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