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으러 (이동의 목적)
의미와 용법
- -이동의 목적을 나타내는 연결어미.
- -(동사에 붙어) 뒤 절에 나오는 이동의 목적을 나타낸다. 앞 절의 행동을 하기 위해 이동함을 나타낼 때 사용한다.
예문
가: 지금 어디에 가요? 나: 돈을 찾으러 은행에 가요. 가: 유미 씨가 왜 도서관에 갔어요? 나: 책을 빌리러 도서관에 갔어요. 가: 이번 주말에 무엇을 할 거예요? 나: 단풍을 보러 설악산에 갈 거예요. 가: 누구를 만나러 오셨습니까? 나: 네, 사장님을 뵈러 왔습니다. 가: 수지 씨는 왜 학원에 다녀요? 나: 영어를 배우러 학원에 다녀요. |
· 학생들은 보통 점심을 먹으러 학생 식당에 갑니다. · 손을 씻으러 화장실에 가요. · 예쁜 옷을 사러 동대문 시장에 갈 거예요. · 고향 친구가 서울로 놀러 왔어요. · 컴퓨터 게임을 하러 피시방에 왔습니다. · 1년 전 약속을 지키러 중국에서 찾아왔어요. · 앤디 씨는 요즘 수영을 배우러 다녀요. · 미국에서는 할로윈데이 때 아이들이 사탕을 얻으러 다닙니다. · 비를 피하러 빈 집에 들어갔습니다. · 내 친구가 이사를 도와주러 우리 집에 왔어요. |
‘-으러’는 앞 절이 뒤 절의 목적을 나타낼 때 사용하는 연결어미이다. 이때 뒤 절에는 이동의 의미가 있는 동사만 사용할 수 있으며, 앞 절의 내용은 뒤 절에 나오는 이동에 관한 동사의 목적으로 한정된다.
주로 ‘-으러 가다/-으러 오다’의 구성으로 많이 쓰인다.
도입
(1) 교사: 필립 씨, 왜 한국에 왔어요? 학생: 한국어를 배워요. 교사: 한국어를 배워요. 한국에 왔어요. 한국어를 배우러 한국에 왔어요. (2) 교사: 필립 씨, 수업이 끝나면 어디에 가요? 학생: 도서관에 가요. 교사: 왜 도서관에 가요? 학생: 공부해요. 교사: 공부해요. 도서관에 가요. 공부하러 도서관에 가요. |
‘-으러’를 도입할 때 먼저 이동에 관련된 동사를 제시하고, 그 이동은 무엇 때문에 하는지 이야기하도록 유도한다. ‘가다, 오다, 다니다’ 등의 이동의 의미를 가지는 동사의 목적을 이야기할 때 ‘-으러’를 사용한다는 것을 자연스럽게 노출하고 이해시킨다.
형태 정보
-
① 동사 어간 끝음절에 받침이 있으면 ‘-으러’를 쓴다.
예) 먹- + -으러 → 먹으러 읽- + -으러 → 읽으러 잡- + -으러 → 잡으러 앉- + -으러 → 앉으러 찾- + -으러 → 찾으러 참- + -으러 → 참으러 ② 동사 어간 끝음절에 받침이 없거나 ‘ㄹ’ 받침으로 끝나면 ‘-러’를 쓴다.
예) 사- + -러 → 사러 쓰- + -러 → 쓰러 배우- + -러 → 배우러 빌리- + -러 → 빌리러 살- + -러 → 살러 만들- + -러 → 만들러 ‘-으러’는 어간의 받침 유무에 따라 형태가 달라지는데, ‘ㄹ’ 받침으로 끝나는 경우는 다른 받침과 달리 ’-으러‘가 아니라 ‘-러’가 결합한다.
③ 불규칙 동사
듣- 예) 앤디 씨는 수업을 들으러 갔어요. 돕- 예) 마이클 씨는 나를 도우러 왔어요. 짓- 예) 할아버지께서는 농사를 지으러 시골에 내려가셨어요.
① 받침 o + -으러 먹으러, 읽으러, 잡으러, 앉으러, 찾으러, 참으러 ② 받침 x, ㄹ 받침 + -러 사러, 쓰러, 배우러, 빌리러, 살러, 만들러
문장 구성 정보
-
① 뒤 절에는 이동의 의미가 있는 동사만 함께 사용한다. 이때 이러한 동사는 문장의 가장 마지막에 사용한다.
예)주사를 맞으러 병원에 가요.
쇼핑하러 명동에 왔어요.
과일을 사러 마트에 갔어요.
요리를 배우러 학원에 다녀요.
‘가다, 오다, 다니다’와 같은 이동을 나타내는 동사와 이들의 합성어인 ‘다녀가다, 다녀오다. 나가다, 나오다, 들어가다, 들어오다, 올라가다, 내려가다, 올라오다, 내려오다’ 등의 동사만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제약 정보
-
① 앞에 ‘가다, 오다, 다니다’ 등 이동을 나타내는 동사가 올 수 없다.
예)저는 부산에 가러 기차역에 왔어요. (x)
저는 밖에 나가러 갔어요. (x)
줄리아 씨는 친척집에 오러 한국에 왔어요. (x)
흐엉 씨는 대학교에 다니러 미국에 갔어요. (x)
② 앞 절과 뒤 절의 주어가 같아야 하며, 뒤 절의 주어는 흔히 생략해서 쓸 수 있다.
예)미셸 씨가 숙제를 하러 앤디 씨가 도서관에 갔어요. (x)
미셸 씨가 숙제를 하러 (미셸 씨가) 도서관에 갔어요. (o)
요스케 씨가 축구 경기를 보러 미도리 씨가 경기장에 갔어요. (x)
요스케 씨가 축구 경기를 보러 (요스케 씨가) 경기장에 갔어요. (o)③ 과거 ‘-었-’, 미래·추측의 ‘-겠-’과 함께 사용할 수 없다.
예)수지 씨는 테니스를 쳤으러 연습장에 갔어요. (x)
수지 씨는 테니스를 치러 연습장에 갔어요. (o)
수지 씨는 테니스를 치겠으러 연습장에 갈 거예요. (x)
수지 씨는 테니스를 치러 연습장에 갈 거예요. (o)
왕밍 씨를 만났으러 1층으로 내려왔어요. (x)
왕밍 씨를 만나겠으러 1층으로 내려올 거예요. (x)
④ 부정 표현과 함께 사용할 수 없다.
예)나는 물고기를 안 잡으러 바다에 갔어요. (x)
나는 물고기를 잡지 않으러 바다에 갔어요. (x)
나는 물고기를 잡으러 바다에 가지 않았어요. (o)
저는 돈가스를 안 먹으러 식당으로 올라갔어요. (x)
저는 돈가스를 먹지 않으러 식당으로 올라갔어요. (x)
저는 돈가스를 먹으러 식당으로 올라가지 않았어요. (o)
문장의 가장 끝의 동사에 부정 표현을 쓰면 사용할 수 있지만 이는 동사의 부정이 아닌, 문장 전체의 부정이 된다.
유사 문법
-
① ‘ -으러’,‘ -으려고’
V-으러 V-으려고 · 의도나 목적을 나타낸다. · 문장의 마지막에 ‘가다, 오다, 다니다’ 등의 이동을 나타내는 동사만 사용한다.
예)
나는 친구를 만나러 명동에 갔어요. (o)
나는 친구를 만나러 명동에서 기다려요. (x)· 뒤 절에 오는 동사의 제약이 없다.
예)
나는 친구를 만나려고 명동에 갔어요. (o)
나는 친구를 만나려고 명동에서 기다려요. (o)· 앞에 이동을 나타내는 동사가 올 수 없다.
예)
남이섬에 가러 한국에 왔어요. (x)
한국대학교에 오러 한국에 왔어요. (x)· 앞에 이동을 나타내는 동사가 올 수 있다.
예)
남이섬에 가려고 한국에 왔어요. (o)
한국대학교에 오려고 한국에 왔어요. (o)· 뒤 절에 청유문과 명령문이 올 수 있다.
예)
비행기를 타러 갑시다. (o)
비행기를 타러 가세요. (o)· 뒤 절에 청유문과 명령문이 올 수 없다.
예)
비행기를 타려고 갑시다. (x)
비행기를 타려고 가세요. (x)· 부정 표현과 함께 쓸 수 없다.
예) 나는 그를 안 만나러 밖에 나갔다. (x)· 부정 표현과 함께 쓸 수 있다.
예) 나는 그를 안 만나려고 밖에 나갔다.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