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어 문법/2급

v - 고 있다 (동작의 진행)

by 사막에서 피는 샤론 2021. 1. 2.

 

의미와 용법

  • -동작의 진행을 나타내는 표현.-(동사에 붙어) 어떤 동작이 끝나지 않고 진행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지금 무엇을 하는지에 대해 설명할 때 사용한다. 또한 진행의 의미가 확장되어 어떤 일을 반복적으로 지속한다는 의미를 나타내기도 한다. 이때는 주로 계획을 수행하기 위해 요즘 하고 있는 일을 설명할 때 사용한다.

예문

  • 담화 예문문장 예문

     

    가: 도서관 앞에서 뭘 해요?
    나: 친구를 기다리고 있어요.

    가: 방에서 뭘 해요?
    나: 어제 빌려 온 책을 읽고 있어요.

    가: 뭘 하고 있어요?
    나: 지갑을 찾고 있어요.

    가: 왕밍 씨, 왜 대답을 안 해요?
    나: 미안해요. 음악을 듣고 있어서 몰랐어요.

    가: 수지 씨는 주말마다 뭘 해요?
    나: 건강을 위해 등산을 하고 있어요.
    · 영수는 밥을 먹고 있어요.
    · 미도리 씨는 열심히 한국어를 공부하고 있어요.
    · 앤디는 잠을 자고 있어요.
    · 동생이 김치찌개를 만들고 있어요.
    · 도서관에서 나왔을 때 비가 내리고 있었어요.
    · 줄리아 씨는 지금 샤워하고 있어요.
    · 엄마가 요리하고 있어요.
    · 형은 5시간 동안 컴퓨터를 고치고 있어요.
    · 커피를 마시고 있어요.
    · 바람이 세게 불고 있습니다.

    ‘-고 있다1)’은 동작의 진행을 의미하므로 ‘도서관 앞에서 뭘 해요? - 친구를 기다리고 있어요.’, ‘방에서 뭘 해요? - 어제 빌려 온 책을 읽고 있어요.’, ‘뭘 하고 있어요? - 지갑을 찾고 있어요.’와 같이 ‘무엇을 해요?’라는 질문에 대한 대답으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건강을 위해 등산을 다니고 있어요.’의 예처럼 ‘건강’이라는 목표를 위해 등산이라는 일을 반복적으로 지속한다는 의미를 나타낼 때에도 사용된다.

도입

  •  

    (1)
    교사: (칠판에 글을 쓰면서) 선생님이 지금 무엇을 해요?
    학생: 써요.
    교사: 선생님이 지금 써요. 쓰고 있어요. (지우면서) 선생님이 지금 무엇을 해요?
    학생: 지워요.
    교사: 선생님이 지금 지워요. 지우고 있어요.

    (2)
    교사: (여행가는 사진을 보여 주며) 방학 때 뭘 할 거예요?
    학생: 여행을 갈 거예요.
    교사: (아르바이트 하는 사진을 보여 주며) 방학 때 여행을 가기 위해 요즘 뭘 해요?
    학생: 아르바이트를 해요.
    교사: 방학 때 여행을 가기 위해 요즘 아르바이트를 해요. 아르바이트를 하고 있어요.

    (1)은 ‘지금 해요’라는 설명과 함께 제시할 수 있는 방식이다. 교실 상황에서 진행할 수 있는 다양한 상황을 직접 수행하며 학생들에게 진행의 의미를 설명할 수 있다. 커피를 따르거나 마시는 행위를 중간에 멈추고 커피를 지금 마시고 있는지 물어봄으로써 현재 진행의 의미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게 좋다.

    (2)는 시점을 넓혀서 요즘 수행하고 있는 행위에 대해 제시하는 방식이다. (1)을 중심으로 진행의 의미를 먼저 제시하고 충분히 연습한 후에, 상황에 따라 (2)를 제시하는 것이 좋다.

형태 정보

  • ① 동사 어간 끝음절의 받침 유무에 관계없이 ‘-고 있다’를 쓴다.

    예)찾- + -고 있다 → 찾고 있다먹- + -고 있다 → 먹고 있다
    잡- + -고 있다 → 잡고 있다살- + -고 있다 → 살고 있다
    가- + -고 있다 → 가고 있다흐르- + -고 있다 → 흐르고 있다

    받침 o+ -고 있다찾고 있다, 먹고 있다, 잡고 있다, 살고 있다
    받침 x+ -고 있다가고 있다, 흐르고 있다

문장 구성 정보

  • ① 현재 진행의 의미를 확실하게 나타내기 위해 ‘지금’과 같은 부사가 함께 사용된다.

    예)

    가: 지갑을 찾았어요?
    나: 아니요, 지금 찾고 있어요.


    ② 부정문은 ‘-고 있지 않다, -지 않고 있다, 안 -고 있다’로 쓴다. ‘안 ?고 있다’는 주로 구어에서 쓴다.

    예)

    지금 비가 오고 없어요. (x)
    지금 비가 오고 안 있어요. (x)
    지금 비가 오고 있지 않아요. (o)
    지금 비가 안 오고 있어요. (o)
    지금 비가 오지 않고 있어요. (o)


    ③ 문장의 주체를 높일 경우에는 ‘-고 계시다’로 쓴다.

    예)

    할아버지께서 신문을 보고 있으세요. (x)
    할아버지께서 신문을 보고 계세요. (o)


    ④ 과거는 ‘-고 있었다’로 쓴다. ‘-고’ 앞에 ‘-었-’을 붙이지 않는다.

    예)

    눈이 내렸고 있어요. (x)
    눈이 내렸고 있었어요. (x)
    눈이 내리고 있었어요. (o)


    ⑤ 추측은 ‘-고 있겠다’로 쓴다. ‘-고’ 앞에 ‘-겠-’을 붙이지 않는다.

    예)

    강릉에 눈이 내리겠고 있어요. (x)
    강릉에 눈이 내리겠고 있겠어요. (x)
    강릉에 눈이 내리고 있겠어요. (o)

제약 정보

  • ① 형용사와 결합하지 않는다.

    예)

    날씨가 춥고 있습니다. (x)
    수지가 예쁘고 있습니다. (x)

    형용사 뒤에 ‘-어지다’가 결합하여 동사가 되면 ‘-고 있-’이 결합할 수 있다.


    ② ‘앉다’나 ‘서다’와 같이 행위가 시작과 동시에 순간적으로 끝나는 순간 동사와의 결합은 자연스럽지 않다.

    예)

    개가 죽고 있다. (x)
    친구가 졸업하고 있다. (x)
    영수가 소파에 앉고 있다. (??)
    수지가 교실 앞에 서고 있다. (??)

    현재 진행 상황을 강조하기 위한 특별한 경우에는 사용되기도 한다.


    예)

    열차가 지금 들어오고 있습니다. (o)
    대통령께서 지금 일어서고 계십니다. (o)


    순간 동사의 행위가 비교적 오랜 시간 동안 수행되는 경우에는 ‘-고 있다’와 결합이 가능하다.


    예)

    영수가 소파에 천천히 앉고 있어요. (o)
    민희가 천천히 눈을 감고 있습니다. (o)

유사 문법

  • ① ‘ -고 있다1)’,‘ -는 중이다’


    -고 있다 -는 중이다
    · ‘어떤 일이 진행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예) 지금 친구를 기다리고 있어요. / 지금 친구를 기다리는 중이에요.
    나 지금 드라마 안 보고 공부하고 있어. / 나 지금 드라마 안 보고 공부하는 중이야.
    · 그 순간에 동작이 진행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예) 수지가 밥을 먹고 있다.
    · 동작이 시작되어 끝나기 전까지의 사이, 어떤 일을 하는 동안이라는 의미를 강하게 나타낸다.

    예) 수지가 밥을 먹는 중이다.

    ② ‘ -고 있다1)’,‘ -는다’


    - 고 있다 -는다
    ·‘ 어떤 행위가 지금 행해짐’이라는 의미를 나타낸다.

    예) 지금 밖에 비가 오고 있다. / 지금 밖에 비가 온다.
    요즘 눈병이 유행하고 있습니다. / 요즘 눈병이 유행합니다.
    나 지금 드라마 안 보고 공부하고 있어. / 나 지금 드라마 안 보고 공부해.
    · 동사와만 결합한다.

    예) 수지가 예쁘고 있다. (x)
    · 용언 어간의 결합 제약이 없다.

    예) 수지가 예쁘다. (o)
    · ‘있다’에 ‘-겠-, -을 것이-, -었-’ 등이 결합되어 미래 및 과거 진행으로 사용된다.

    예)
    영수는 내일 집에서 공부하고 있을 것이다.
    영수는 어제 집에서 공부하고 있었다.
    · 미래 및 과거를 나타내는 전형적인 문법 형태가 따로 있으며, 진행의 의미로 사용되지 않는다.

    예)
    영수는 내일 집에서 공부할 것이다.
    영수는 어제 집에서 공부했다.

 

'한국어 문법 > 2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V -(으)려고 (의도,목적)  (0) 2021.01.02
N 뿐  (0) 2021.01.02
N 밖에  (0) 2021.01.02
v -어/아 버리다 ( 아쉬움, 후회, 시원함)  (0) 2021.01.02
V- 고 있다 (결과상태의 지속)  (0) 2021.0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