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문법11 [예쁜 말 바른 말] ‘매기다’와 ‘메기다’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1. 12. 8. A/V-고요 의미와 용법 - 앞의 말에 덧붙이거나 계속 이어서 서술함을 나타내는 종결어미 - (동사나 형용사, ‘이다, 아니다’에 붙어) 상대방이나 말하는 사람이 한 말에 어떤 내용을 계속 이어 말하거나 덧붙이거나 또는 뒤에 올 말을 생략하여 서술함을 나타낸다. 주로 말할 때 사용한다. 예문 담화 예문 가: 오늘 날씨가 어때요? 나: 추워요. 바람도 불고요. 가: 줄리아 씨가 노래를 참 잘하지요? 나: 네, 춤도 잘 추고요. 가: 몸은 좀 어때요? 나: 이제 괜찮아요. 목도 아프지 않고요. 가: 미도리 씨, 남자 친구가 어때요? 나: 착해요. 성실하고요. 가: 주말에 같이 운동을 할래요? 나: 미안해요. 숙제가 많아요. 집안일도 많고요. 문장 예문 · 한국음식은 정말 맛있어요. 건강에도 좋고요. · 저는 책을 읽어요.. 2021. 1. 20. N 마다 (모두) 의미와 용법 -하나하나 빠짐없이 모두의 뜻을 나타내는 조사.-(명사에 붙어) 하나도 빠짐없이 모두 비슷한 상황에 있음을 나타내거나, 또는 각 상황이 되풀이됨을 나타낸다.예문 나: 일 년마다 한 번씩 축제를 해요. · 오빠는 토요일마다 영어를 배웁니다.‘마다’는 ‘낱낱이 모두’의 뜻을 나타내는 보조사이다. 담화 예문의 ‘교실마다’나 ‘방마다’는 하나하나 빠짐없이 모두 비슷한 상황에 있음을 나타내는 ‘마다’의 예시이고, ‘아침마다’, ‘십 분마다’, ‘일 년마다’는 각 상황이 되풀이됨을 나타내는 ‘마다’이다. 도입 교사: 앤디 씨는 매일 아침 세수해요. 아침마다 세수해요.(1)은 ‘마다’가 모두의 의미를 나타낸다는 것을 보여 주기 위해 같은 이름이 써져 있는 물건을 제시하였다. 이처럼 공통점이 있는 대상이나.. 2021. 1. 4. V-(으)ㄹ래요 (1.의지,의향, 계획) 의미와 용법 -어떤 일을 할 의사나 의향이 있음을 서술함을 나타내는 종결어미. -(동사에 붙어) 말하는 사람이 어떤 일을 할 의지나 의향, 계획이 있음을 나타낸다. 말하는 사람이 듣는 사람에게 앞으로 할 일에 대해 자신의 의사를 밝혀 말할 때 사용하며, 주로 비격식적인 구어에서 많이 사용한다. 예문 가: 오늘 도서관에 같이 갈까? 나: 아니, 안 갈래. 피곤해. 가: 무엇을 마실까요? 나: 저는 커피를 마실래요. 가: 피아노를 배우고 싶어요? 아니면 기타를 배우고 싶어요? 나: 저는 피아노를 배울래요. 가: 유미 씨는 치마가 잘 어울리니까 치마를 입으세요. 나: 오늘은 많이 걸어야 하니까 바지를 입을래요. 가: 밥 좀 더 드세요. 나: 아니요, 너무 배가 불러서 그만 먹을래요. · 저는 스포츠 신문을 읽.. 2021. 1. 2.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