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을위한한국어4 V-기 전에 의미와 용법 -앞의 내용이 뒤의 내용보다 시간상 나중임을 나타내는 표현. -(동사에 붙어) 뒤의 행위가 앞의 행위보다 먼저 일어남을 나타낸다. 일의 순서를 말할 때 주로 사용한다. 예문 담화 예문 가: 언제 한국어를 배웠어요? 나: 한국에 오기 전에 한국어를 배웠어요. 가: 언제 저녁을 먹어요? 나: 드라마가 시작하기 전에 먹어요. 가: 자동차를 사고 싶어요. 나: 운전은 할 줄 알아요? 가: 아니요. 나: 자동차를 사기 전에 먼저 운전을 배우세요. 가: 이 약을 언제 먹어요? 나: 자기 전에 드세요. 가: 언제 도서관에 왔어요? 나: 도서관 문을 열기도 전에 왔어요. 문장 예문 · 밥을 먹기 전에 손을 씻는다. · 비가 오기 전에 시장에 갔다 올게요. · 영화관에 들어가기 전에 팝콘을 샀어요. · 철수.. 2021. 1. 29. V -(으)ㄴ 후에 의미와 용법 -앞의 행위가 뒤의 행위보다 시간상 앞섬을 나타내는 표현. -(동사에 붙어) 어떤 행위를 시간적으로 먼저 한 다음에 뒤의 행위를 함을 나타낸다. 시간 순서에 따른 행위를 나열하거나, 특정 시점이 지난 다음에 일어날 행위 에 대해 강조하여 나타낼 때 사용한다. 예문 1) 담화 예문 가: 어제 저녁에 뭐 했어요? 나: 밥을 먹은 후에 텔레비전을 봤어요. 가: 왕밍 씨, 주말에 뭐 할까요? 나: 영화를 본 후에 쇼핑을 해요. 가: 언제 산책을 할래요? 나: 책을 다 읽은 후에 산책을 하고 싶어요. 가: 수업이 끝난 후에 뭐 할 거예요? 나: 도서관에 갈 거예요. 가: 한국어를 공부한 후에 뭐 하고 싶어요? 나: 한국 회사에 취직하고 싶어요. 2) 문장 예문 · 손을 씻은 후에 식사를 하세요. · .. 2021. 1. 29. 30일이 넘는 긴 방학에, 뭘 할까? 2월 10일 기말고사 말하기 시험을 끝으로 2020년 겨울학기가 종료된다. 그리고 2021년 학사일정을 살펴보니 3월 15일에 봄학기가 개강한다. 꽤나 긴 방학이다. 한 달. 올 한해는 봄 학기때부터 겨울학기 총 4학기 (1년)을 온라인 강의로 진행을 했다. 처음에는 컴퓨터와 관련 기기장비들 사용에도 익숙치 않아 힘들던 것들이 이제는 생활이 되어버렸다. 로지텍 캠코더를 시작으로 태블릿, 마이크, 노트북 거치대 등 온라인 수업으로 인해 필요한 장비들을 구입하는 데 꽤나 돈을 들이게 되었다. 허리가 아파서 구입한 시디즈 컴퓨터 의자 학부용 강의 동영상과 유튜브 영상촬영을 위한 이동식 마이크를 샀다가 실패해서, 스탠드형으로 또 다시 구입. 마우스로 학생들에게 설명하기 힘들어 태블릿을 구입하려다 e-book에 .. 2021. 1. 28. A/V -기 때문에 (이유, 원인) 의미와 용법-어떤 일의 이유나 원인을 나타내는 표현.-(동사나 형용사, ‘이다, 아니다’ 에 붙어) 앞 절이 뒤 절의 이유나 원인이 됨을 나타낸다.예문 나: 방학이기 때문에 요즘 학교에 안 가요. · 매일 늦게 자기 때문에 항상 피곤합니다.‘-기 때문에’는 이유나 원인을 나타내므로 결과나 이유에 대한 질문과 대답에 사용된다.‘왜 학교에 안 갔어요? - 방학이기 때문에 요즘 학교에 안 가요.’,‘왜 주말에 같이 영화 보러 갈 수 없어요? - 숙제가 많기 때문에 갈 수 없어요.’,‘서울역까지 버스를 타고 갈까요? - 지금 시간이 없기 때문에 택시를 타고 가야 해요.’와 같이 질문에 대한 이유를 보다 정확하게 밝혀 쓸 경우에 자연스럽다. 도입 교사: 날씨가 덥기 때문에 에어컨을 켰어요.(1)은 학생이 실제로 .. 2021. 1. 2.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