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미와 용법
-앞의 행위가 뒤의 행위보다 시간상 앞섬을 나타내는 표현.
-(동사에 붙어) 어떤 행위를 시간적으로 먼저 한 다음에 뒤의 행위를 함을 나타낸다. 시간 순서에 따른 행위를 나열하거나, 특정 시점이 지난 다음에 일어날 행위 에 대해 강조하여 나타낼 때 사용한다.
예문
1) 담화 예문
가: 어제 저녁에 뭐 했어요?
나: 밥을 먹은 후에 텔레비전을 봤어요.
가: 왕밍 씨, 주말에 뭐 할까요?
나: 영화를 본 후에 쇼핑을 해요.
가: 언제 산책을 할래요?
나: 책을 다 읽은 후에 산책을 하고 싶어요.
가: 수업이 끝난 후에 뭐 할 거예요?
나: 도서관에 갈 거예요.
가: 한국어를 공부한 후에 뭐 하고 싶어요?
나: 한국 회사에 취직하고 싶어요.
2) 문장 예문
· 손을 씻은 후에 식사를 하세요.
· 저는 스파게티를 만든 후에 샐러드를 만들 거예요.
· 나는 책을 다 읽은 후에 잠을 잘 것이다.
· 철수는 숙제를 한 후에 텔레비전을 봐요.
· 영희는 결혼한 후에 공부를 시작했어요.
· 저는 한국 음악을 들은 후에 한국을 좋아하게 됐어요.
· 미도리는 대학에 입학한 후에 남자 친구를 사귀었습니다.
· 수지는 버스를 탄 후에 잠이 들었어요.
· 모두 자리에 앉은 후에 회의를 시작하겠습니다.
· 번개가 친 후에 비가 내립니다.
‘-은 후에’는 시간상 선후 관계에 있는 행위를 나타낼 때 사용한다. 따라서 여러 가지의 행위를 시간 순서로 나열할 때 사용하거나, 특정 행위가 끝난 이후에 일어날 행위를 나타낼 때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위의 대화문을 바탕으로 설명하는 게 좋다. 예를 들어 ‘어제 저녁에 뭐 했어요?’와 같은 질문에는 어제 저녁에 한 여러 가지 일들을 시간 순서로 ‘밥을 먹은 후에 텔레비전을 봤어요.’와 같이 대답할 수 있다. 이에 비해 ‘수업이 끝난 후에 뭐 할 거예요?’와 같이 특정 행위 이후에 일어날 행위에 대해 말하기 위해 ‘-은 후에’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뒤 절의 행위가 내용의 중심이 된다.
‘저는 한국 음악을 들은 후에 한국을 좋아하게 됐어요.’와 같은 문장에서는 앞 절과 뒤 절의 내용이 단순히 시간상의 선후만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앞 절의 행위에 의한 결과적 행위로 뒤 절이 올 수 있음을 보여 주고 있다.
도입
(1)
교사: 왕밍 씨, 어제 집에 가서 뭐 했어요?
학생: 어제 집에 가서 컴퓨터를 했어요.
교사: 컴퓨터를 하고 그 다음에 뭐 했어요?
학생: 컴퓨터를 하고 잠을 잤어요.
교사: 왕밍 씨는 어제 집에 가서 컴퓨터를 하고 잠을 잤어 요. 왕밍 씨는 컴퓨터를 한 후에 잠을 잤어요.
(2)
교사: 줄리아 씨, 수업이 끝나면 뭐 할 거예요?
학생: 학생 식당에서 밥을 먹을 거예요.
교사: 줄리아 씨는 수업이 끝난 후에 학생 식당에서 밥을 먹을 거예요. 그리고 밥을 먹으면 뭐 할 거예요?
학생: 밥을 먹으면 도서관에서 공부를 할 거예요.
교사: 줄리아 씨는 밥을 먹은 후에 도서관에서 공부를 할 거예요.
‘-은 후에’의 도입은 시간의 선후 관계를 알 수 있는 상황을 제시하는 게 좋다. 먼저 했던 일을 순차적으로 나열하여 문장을 만들어 제시해 주고, 다음에는 앞으로 할 일을 ‘-은 후에’와 연결하여 제시한다. 목표 문법을 도입한 후 학생들에게 ‘줄리아 씨가 밥을 먹은 후에 도서관에서 공부를 할 거예요?’, ‘도서관에서 공부를 한 후에 밥을 먹을 거예요?’와 같은 질문을 하여, 목표 문법이 시간의 선후를 나타내므로 행위의 순서 배열에 따라 의미가 달라짐을 알 수 있도록 유도하면 좋다.
도입을 제시하며 다음과 같이 시간에 따른 행위를 순차적으로 판서하고 설명을 하면 시간의 선후 관계에 대한 인식을 도울 수 있다.
형태 정보
① 동사 어간 끝음절에 받침이 있으면 ‘-은 후에’를 쓴다.
예)
씻- + -은 후에 → 씻은 후에
받- + -은 후에 → 받은 후에
찾- + -은 후에 → 찾은 후에
읽- + -은 후에 → 읽은 후에
먹- + -은 후에 → 먹은 후에
잡- + -은 후에 → 잡은 후에
② 동사 어간 끝음절에 받침이 없거나 ‘ㄹ‘ 받침으로 끝나면 ‘-ㄴ 후에’를 쓴다. 단, ‘ㄹ‘ 받침으로 끝날 때는 ‘ㄹ‘이 탈락한다.
예)
타- + -ㄴ 후에 → 탄 후에
배우- + -ㄴ 후에 → 배운 후에
보- + -ㄴ 후에 → 본 후에
쓰- + -ㄴ 후에 → 쓴 후에
놀- + -ㄴ 후에 → 논 후에
만들- + -ㄴ 후에 → 만든 후에
③ 불규칙
묻-예) 왕밍 씨의 생각을 물은 후에 시간을 정할까요?
굽-예) 고기를 구운 후에 찌개를 끓일게요.
낫-예) 감기가 나은 후에 수영장에 가고 싶어요.
① 받침 o+ -은 후에
씻은 후에, 받은 후에, 찾은 후에,
읽은 후에, 먹은 후에, 잡은 후에
② 받침 x+ -ㄴ 후에
탄 후에, 배운 후에, 본 후에, 쓴 후에
ㄹ 받침+ -ㄴ 후에
(어간 ‘ㄹ’ 탈락)논 후에, 만든 후에
제약 정보
① 형용사와 결합하지 않는다.
예)
날씨가 추운 후에 눈이 올 거예요. (x)
건강이 좋은 후에 일을 시작할 거예요. (x)
형용사는 ‘-어지다’가 붙으면 자동사가 되어 ‘-은 후에’와 결합이 가능하다.
예)
날씨가 추워진 후에 눈이 올 거예요. (o)
건강이 좋아진 후에 일을 시작할 거예요. (o)
행위의 앞섬을 뜻하므로 상태를 나타내는 형용사와는 결합하지 않는다.
② 과거 ‘-었-’이 결합하지 않는다.
예)
책을 읽었은 후에 독후감을 썼어요. (x)
식사를 했은 후에 커피를 마셨어요. (X)
책을 읽은 후에 독후감을 썼어요. (o)
식사를 한 후에 커피를 마셨어요. (o)
이미 알고 있듯이 ‘-은’은 과거 시제를 나타내는 선어말 어미이기 때문에 과거 시제를 나타내는 ‘-었-’이 결합할 필요가 없다.
확장
① ‘에’를 생략한 ‘-은/-ㄴ 후’의 구성으로 쓰기도 한다. 주로 구어에서 사용한다.
예)
저는 대학을 졸업한 후 배낭여행을 갈 거예요.
철수는 숙제를 마친 후 놀 거예요.
저는 한국에 온 후 한국 음식을 좋아하게 됐어요.
철수 씨는 미도리 씨를 만난 후 사랑에 빠졌어요.
비가 온 후 날씨가 추워졌어요.
② ‘명사+후(에)’의 구성으로 쓰기도 한다.
예)
영수 씨가 한 달 후에 결혼을 해요.
일주일 후에 시험이 있어요.
도착 후에 바로 전화 주세요.
저는 졸업 후 유학을 갈 거예요.
저는 취업 후 결혼할 거예요.
이때 명사는 시간을 나타내거나 행위와 관련된 의미, 즉 서술성을 가지고 있거나 서술성을 명백하게 추측할 수 있어야 한다.
예)
어머니는 밥 후에 텔레비전을 봐요. (x)
남자 친구는 학교 후에 아르바이트를 갑니다. (x)
어머니는 식사 후에 텔레비전을 봐요. (o)
남자 친구와 졸업 후에 결혼할 거예요. (o)
③ ‘-은 뒤에’, ‘-은 다음에’와 바꿔 쓸 수 있다. 이때 조사 ‘에’는 모두 생략될 수 있다.
예)
철수는 아침에 일어나서 세수를 한 후(에) 밥을 먹어요.
아침에 일어나서 세수를 한 뒤(에) 밥을 먹어요.
아침에 일어나서 세수를 한 다음(에) 밥을 먹어요.
④ 행위의 단순 나열의 의미로 사용될 때 부정 형태 ‘-지 않은 후에’, ‘안 -은 후에’가 사용되면 의미적으로 어색한 경우가 많다.
예)
텔레비전을 본 후에 잠을 잤다.
텔레비전을 안 본 후에 잠을 잤다. (??)
밥을 먹지 않은 후에 산책을 했다. (??)
밥을 안 먹은 후에 산책을 안 했다. (x)
‘-은 후에’는 완료된 행위를 시간적 순서로 나열하는 것이기 때문에 하지 않은 행위 자체를 완료하여 나열한다는 것은 의미적으로 모순된다. 그러나 ‘술을 마시지 않은 후에 건강해졌다, 라면을 안 먹은 후에 살이 빠졌다’처럼 앞 절의 행위로 인한 결과적 행위나 상태가 뒤 절의 내용으로 오면 자연스럽게 사용된다.
예)
라면을 먹지 않은 후에 살이 빠졌다. / 라면을 안 먹은 후에 살이 빠졌다.
술을 마시지 않은 후에 건강해졌다. / 술을 안 마신 후에 건강해졌다.
유사 문법
① ‘ -은 후에’, ‘ -고2) ’
공통점:
·‘어떤 행위를 한 다음에’라는 의미를 나타낸다.
·앞 절의 행위가 뒤 절의 행위보다 앞섬을 나타내며, 앞 행위의 완료에 초점을 둔다.
예) 수지는 숙제를 한 후에 친구를 만났다.
·앞 절의 행위가 끝났다는 완료의 의미를 나타내기는 하지만, 단순히 행동의 연결에 초점을 둔다.
예) 수지는 숙제를 하고 친구를 만났다.
② ‘ -은 후에’,‘ -기 전에’
·앞 절과 뒤 절의 시간의 선후 관계를 나타낸다.·앞 절의 행위가 뒤 절의 행위보다 먼저임을 나타낸다.
· 행위를 시간 순서대로 A, B라고 했을 때, ‘A-은 후에 B’의 구성이 된다.
예) 철수는 운동을 한 후 샤워를 해요.
수지는 신문을 본 후 출근했어요.·앞 절의 행위가 뒤 절의 행위보다 나중임을 나타낸다.
·행위를 시간 순서대로 A, B라고 했을 때, ‘B-기 전에 A’의 구성이 된다.
예) 철수는 샤워를 하기 전에 운동을 해요.
수지는 출근하기 전에 신문을 봤어요.
‘-은 후에’는 ‘후(後)’라는 한자어의 의미대로 이 절의 행위가 뒤 절의 행위보다 앞서 있으나 ‘-기 전에’는 ‘전(前)’이라는 한자어의 의미대로 이 절의 행위가 뒤 절의 행위보다 뒤에 일어남을 뜻한다. 그러므로 두 표현을 사용하여 동의의 문장을 만들려면 앞뒤의 동사가 바뀐다.
③ ‘ -은 후에’,‘ -은 다음에’,‘ -은 뒤에’,‘ -은 지 ’
공통점 :
·‘어떤 행위를 한 후’라는 의미를 나타낸다.
·은 후에, 은 다음에, 은 뒤에
시간의 선후를 나타내므로 뒤 절에는 앞 절의 행위 후 이루어진 행위를 제시해야 한다.
예) 결혼한 다음에/뒤에/후에 유학을 갔어요. (o)
결혼한 다음에/뒤에/후에 2년이 됐어요. (x)
·'- 은지'
뒤 절에는 시간이 얼마나 경과했는지를 나타내는 표현만 올 수 있다.
예) 결혼한 지 2년이 됐어요. (o)
결혼한 지 유학을 갔어요.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