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교원양성과정3 N만 같아도 의미와 용법 -어떤 시기나 상황을 비교하여 가정함을 나타내는 표현. -(명사에 붙어) 어떤 시기나 상황을 비교하여 가정하여 뒤의 내용을 서술할 때 사용한다. ‘~이라면’의 뜻이다. 예문 가: 앤디 씨는 언제 처음으로 휴대폰을 샀어요? 나: 저는 대학생 때 처음 휴대폰을 샀어요. 가: 정말요? 요즘은 초등학생들도 다 휴대폰을 갖고 다니는 것 같아요. 나: 맞아요. 10년 전만 같아도 초등학생들이 휴대폰을 갖고 다니는 건 상상도 못했는데 말이에요. 가: 왜 이렇게 우울해 보여요? 나: 성적표가 나왔는데 성적이 생각보다 좋지 않아요. 가: 왜요? F가 있어요? 나: 아니요, 성적 장학금을 받아야 하는데 0.1점이 모자라요. 가: 제 성적이 왕밍 씨만 같아도 걱정이 없을 텐데요. · 올해 날씨가 작년만 같아도 .. 2021. 12. 10. A/V- 잖아(요) 의미와 용법 -말하는 사람이 어떤 상황이나 정보를 상대방에게 확인시키거나 정정해 주듯이 말함을 나타내는 종결어미.-(동사, 형용사, ‘이다, 아니다’에 붙어) 말하는 사람이 듣는 사람에게 어떤 상황을 확인시키거나 그 상황을 고쳐 주려는 듯한 의도를 가질 때 사용한다. ‘-지 않다’가 줄어든 표현이었지만 그 의미가 변하여 독립된 종결어미로 쓰인다. 주로 구어에서 쓰인다. 예문 담화 예문 (1) 가: 여보, 오늘 아침은 미역국이네. 누구 생일이야? 나: 아빠 생신이잖아요. 가: 오늘이 내 생일이야? 다: 저녁에 생일 케이크 준비할 거니까 빨리 집에 오세요. (2) 가: 빨리 나가자. 나: 왜 이렇게 서두르세요. 가: 지금 출발 안 하면 약속 시간에 늦잖아. 나: 토요일 아침이라 괜찮아요. 가: 오늘부터 연휴.. 2021. 12. 8. V-는 김에 의미와 용법 - 어떤 행위를 주된 목적으로 하면서 그것을 기회로 다른 행위를 함을 나타내는 표현. - (동사에 붙어) 앞 절의 행위를 함에 더하여 그 기회에 뒤 절의 다른 행위를 함께 함을 나타낸다. 앞 절의 행동이 원래의 목적이지만 앞 절의 행동을 하면서 동시에 할 수 있는 다른 행동도 같이 할 때 사용한다. 예문 담화 예문 가: 줄리아 씨, 오늘 오후에 시장에 가려고 하는데 같이 가실래요? 나: 네, 좋아요. 시장에 가는 김에 맛있는 음식도 먹어요. 가: 그럼, 무엇을 먹을 건지 잘 생각해 놓으세요. 나: 걱정 마세요. 벌써 다 생각해 놨어요. 가: 앤디야 어디에 가? 나: 도서관에 책 좀 반납하러 가는 길이야. 가: 그래? 혹시 반납하는 김에 내 책도 같이 반납해 줄 수 있어? 나: 당연히 해 줄 .. 2021. 10. 5.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