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어 문법/2급

V-기 전에

by 사막에서 피는 샤론 2021. 1. 29.

의미와 용법


-앞의 내용이 뒤의 내용보다 시간상 나중임을 나타내는 표현.
-(동사에 붙어) 뒤의 행위가 앞의 행위보다 먼저 일어남을 나타낸다. 일의 순서를 말할 때 주로 사용한다.

예문

담화 예문
가: 언제 한국어를 배웠어요?
나: 한국에 오기 전에 한국어를 배웠어요.

가: 언제 저녁을 먹어요?
나: 드라마가 시작하기 전에 먹어요.

가: 자동차를 사고 싶어요.
나: 운전은 할 줄 알아요?
가: 아니요.
나: 자동차를 사기 전에 먼저 운전을 배우세요.

가: 이 약을 언제 먹어요?
나: 자기 전에 드세요.

가: 언제 도서관에 왔어요?
나: 도서관 문을 열기도 전에 왔어요.

문장 예문
· 밥을 먹기 전에 손을 씻는다.
· 비가 오기 전에 시장에 갔다 올게요.
· 영화관에 들어가기 전에 팝콘을 샀어요.
· 철수 씨를 알기 전에 영수 씨를 먼저 알았어요.
· 휴가를 가기 전에 일을 다 끝냈습니다.
· 말하기 전에 먼저 생각해 보세요.
· 줄리아 씨를 만나기 전에는 돌아가지 않을 거예요.
· 은행 문을 닫기 전에 빨리 가세요.
· 버스를 타기 전에 화장실에 다녀오세요.
· 소설을 읽기 전에 작가에 대해 알아봅시다.

‘-기 전에’는 일의 순서를 나타내므로 ‘언제’와 관련된 질문과 함께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기 전에’는 시점을 묻는 질문에 대한 대답으로 자주 사용된다. ‘도서관 문을 열기도 전에 왔어요.’에서 ‘도’는 강조의 의미를 나타낸다.


도입

(1)
교사: 왕밍 씨, 아침에 무엇을 해요?
학생: 세수를 해요.
교사: 세수를 하고 무엇을 해요?
학생: 밥을 먹어요.
교사: 왕밍 씨는 세수를 하고 밥을 먹어요. 왕밍 씨는 밥을 먹기 전에 세수를 해요.

(2)
교사: 아침에 밥을 먹고 세수를 해요, 세수를 하고 밥을 먹어요?
학생1(왕밍): 저는 밥을 먹고 세수를 해요.
학생2(흐엉): 저는 세수를 하고 밥을 먹어요.
교사: 왕밍 씨는 세수하기 전에 밥을 먹어요. 흐엉 씨는 밥을 먹기 전에 세수를 해요.

(1)과 (2)는 동일한 소재를 가지고 다르게 접근하는 방식이다. (1)은 학생 개인이 순차적으로 하는 일의 순서를 이야기하게 하여 ‘-기 전에’의 의미를 인식하도록 하였다. (2)는 일의 순서에 초점을 두고 학생들끼리 각자가 수행하는 일의 순서가 다름을 인식하게 하여 ‘-기 전에’의 의미를 인식하도록 하는 것이다. 먼저 (1)을 제시하고 자연스럽게 (2)로 확장해 나가는 게 좋다.

(2)를 제시할 때는 밥을 먹는 그림과 세수하는 그림을 보여 주는 것이 좋다. 학생들 각자의 방식에 따라 그림 나열 순서를 바꾸어 제시하면 시각적으로 볼 수 있어서 일의 선후 관계를 파악하기 쉽다.


형태 정보

① 동사 어간 끝음절의 받침 유무에 관계없이 ‘-기 전에’를 붙여 쓴다.

예)
찾- + -기 전에 → 찾기 전에
읽- + -기 전에 → 읽기 전에
살- + -기 전에 → 살기 전에
가- + -기 전에 → 가기 전에
사- + -기 전에 → 사기 전에
공부하- + -기 전에 → 공부하기 전에


제약 정보

① 과거 ‘-었-’, 미래∙추측의 ‘-겠-’과 결합하지 않는다.
예)
잠을 잤기 전에 세수를 했어요. (x)
잠을 자겠기 전에 세수를 할 거예요. (x)
잠을 자기 전에 세수를 했어요. (o)
잠을 자기 전에 세수를 할 거예요. (o)

확장
① ‘에’를 생략하여 ‘-기 전’으로 쓰기도 한다. 주로 구어에서 사용한다.

예)
출근하기 전 신문을 봐요.
잠 자기 전 음악을 들어요.
밥 먹기 전 물을 마셔요.
학교에 가기 전 운동을 해요.


② ‘N 전에’의 구성으로 쓰기도 한다.
예)
식사 전에 손을 씻는다.
출발 전에 전화 주세요.
9시 전에 학교에 도착해야 한다.

이때 명사는 시간을 나타내거나 행위와 관련된 의미, 즉 서술성을 가지고 있거나 서술성을 명백하게 추측할 수 있어야 한다.

비서술성 명사 뒤에 ‘전에’를 사용하려면 보통 다음 예처럼 비서술성 명사에 어울리는 동사를 보충해 주어야 한다. 서술성 명사는 이미 서술적 의미가 들어가 있으므로 서술성 명사에 ‘-하다’를 붙여 사용하면 된다
.



예)

③ ‘-기’에 강조의 보조사 ‘도’가 붙어 ‘-기도 전에’로 쓰기도 한다.

예)
시험을 보기도 전에 포기하면 안 돼요. (o)
‘-기’ 뒤에 다른 조사는 붙지 않는다.
④ ‘-기 전(에)’의 반의 표현으로 ‘-은 후(에)’가 있다.

예)
영화가 시작하기 전에 도착했다.
영화가 시작한 후에 도착했다.
친구와 만나기 전에 쇼핑을 했다.
친구와 만난 후에 쇼핑을 했다.

유사 문법

① ‘ -기 전에’,‘ -기에 앞서’
공통점 :
‘앞의 행위보다 뒤의 행위가 먼저 일어남‘을 나타내는 표현이다.

V-기 전에
· 일상적인 대화에서 자주 쓰인다.
예) 밥 먹기 전에 마트에 다녀오자.

V-기에 앞서
· 공식적인 자리 혹은 문어에서 주로 쓰인다.
예) 행사를 시작하기에 앞서 총장님의 축하 인사를 듣겠습니다.

‘-기에 앞서’는 격식적인 표현으로 ‘밥 먹기에 앞서 마트에 다녀오자.’처럼 일상적인 대화에서 사용하면 아주 어색하다.




'한국어 문법 > 2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A/V- 잖아(요)  (2) 2021.12.08
V -(으)ㄴ 후에  (0) 2021.01.29
N 처럼[같이]  (0) 2021.01.20
A/V-고요  (0) 2021.01.20
N 마다 (모두)  (0) 2021.01.04